KCSG 소식

  1. home
  2. 알림
  3. KCSG 소식
뉴스레터 간행물 주요 연구성과 미디어 연구회동정

[KCSG LU19-22] Transl Lung Cancer Res 2022

  • 작성자 관리자
  • 등록일 2023-01-27
  • 조회수 398
첨부파일

▶ KCSG LU19-22


Totality outcome of afatinib sequenti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EGFR mutation-positive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South Korea (TOAST): Korean Cancer Study Group (KCSG) LU-19-22


Journal : Transl Lung Cancer Res 2022;11(7):1369-1379.

제1저자 정현애 (삼성서울병원)

Q. 연구의 배경은?
 EGFR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 폐암의 1차 치료로 현재 5가지 EGFR-TKI (gefitinib, erlotinib, afatinib, dacomitinib, osimertinib) 가 현재 우리 나라에 허가가 되어 사용 중입니다.  EGFR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 1차 치료 전략은 크게, 3세대 약물인 osimertinib 을 사용 하는 것과, 1세대 혹은 2세대 약물을 사용 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는 1세대 혹은 2세대 EGFR-TKI 의 치료 실패 이후, 40-50% 에서 발견되는 T790M mutation 여부에 따라 osimertinib 혹은 lazertinib 을 2차 치료로 가능합니다. 한편, Afatinib, 은 irreversible 하게 ErbB family binding 하는 2세대 약물로, LUX-Lung 3 임상 시험을 통하여 13.6 개월의 무진행 생존기간을 입증한 약제로, 2013년 10월 우리나라에서 허가 되었습니다. 다양한 EGFR-TKI 치료의 선택이 가능한 상황에서, afatinib을 1차 치료로 사용한 환자에게서, 질병의 진행 후, 어떤 후속 치료가 실제 환자들이게 적용이 되었고, 치료 성적이 어떻게 되는 조사 하였습니다. 

Q.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는 1차 치료로 afatinib 을 사용한 EGFR 돌연 변이 양성 환자에서, subsequent treatment 에 따라서 4가지 군으로 구별을 하였고 (S Figure 1), 각 군에 있어, total time on treatment (total TOT; from initiation of afatinib to second-line treatment) 와 TOT-1 for first line afatinib, TOT-2 for second line treatment, CNS efficacy 를 비교 하였습니다.  


[S Figure 1]

Q. 연구 방법?
 본 연구는 KCSG 산하 15 기관에서 참여하였으며, 총 737 명의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후향적으
수집한 연구입니다. 각 환자의 데이터는 direct chart review를 통하여 수집되었습니다.  

Q. 연구 결과?
 Median follow-up duration 은 21.3 개월이었고, 1차 치료로 afatinib 치료를 받았던 737명 중에, 15.7% 가 Cohort A (T790M positive and osimertinib therapy as second-line treatment), 19.4% 가 Cohort B (T790M negative with chemo/other therapy as second-line treatment), 15.1% 가 Cohort C (T790M unknown status with chemo/other therapy)에 해당하였습니다. 분석 당시, 49.8%의 환자는 여전히 afatinib 치료를 지속 중 (Cohort D) 이었습니다. 즉, 737명 중 370명의 afatinib 치료 후 질병의 진행을 한 환자 중였고, 이중 70.8% 가 resistant mechanism을 확인 하기 위한 re-biopsy 를 시행하였고, re-biopsy 를 시행한 환자중에 T790M 이 확인된 환자는 44.3% 였습니다. 전체 환자에서 al TOT는 23.4 개월 이었으며, cohort A 에서는 35.1 개월, cohort B 에서는 18.8 개월, cohort C 에서는 12.9 개월로 분석되었습니다 (Figure 1). 본 연구에서는 287명의 환자가 afatinib 치료를 받을 당시 뇌전이가 동반되었었고, 이중 106 명의 환자를 뇌전이에 대한 방사선 치료 없이 afatinib 치료만 받았습니다. 이 환자 군에서 CNS-objective response rate 는 67% 였고, CNS-PFS 는 24.7 개월 이었습니다. 
 본 연구는 1차 afatinib 치료와 이후 후속 치료 결과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한 연구로 의미가 있습니다. 실제 얼마나 많은 환자들이 1차 치료 후 re-biopsy 가 가능한지와, T790M의 빈도, 뇌전이가 동반된 환자의 빈도와, afatinib의 CNS efficacy 를 보여 주었습니다. 다만, 짧은 follow-up duration으로 인하여, overall survival에 대한 분석은 추후 계획하고 있습니다.  


[Figure 1]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본 연구는 연구자 주도 연구로서, 700명이 넘는 대규모 환자들에게서 , 임상적으로 중요한 다양한 clinical  characteristics 를 조사한 것으로, 연구의 진행에 있어서 무엇보다 연구자들의 노력이 중요하였던 연구 입니다. 후향적 연구지만, 이를 통하여 현재의 clinical practices를 정리 하고, unmet need 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연구였다고 생각이 됩니다. 특히, 본 연구자의 PI 이신 강진형 교수님께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부분에 있어서, 새로운 model을 제시 하고 이끌어 주셨기에 가능한 연구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대규모 연구로서, 힘들게 모은 임상 데이터가, 추후에도 다른 연구를 통해서도 다시 분석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에게 좋은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시고, 이끌어 주신 강진형 교수님과 KCSG 공동 연구자분들께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

논문 원문 보러가기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