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G 소식

  1. home
  2. 알림
  3. KCSG 소식
뉴스레터 간행물 주요 연구성과 미디어 연구회동정

[KCSG CO17-02] Clin Oncol (R Coll Radiol). 2023 Feb

  • 작성자 관리자
  • 등록일 2023-03-08
  • 조회수 391
첨부파일

▶ KCSG CO17-02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With Capecitabine With or Without Temozolomide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A Prospective, Randomised Phase II Study Stratified by O6-Methylguanine DNA Methyltransferase Status: KCSG-CO17-02


Journal : Clin Oncol (R Coll Radiol). 2023 Feb;35(2):e143-e152.

제1저자 오충렬(중앙대병원)

Q. 연구의 배경은?
 국소 진행성 직장암에서 수술 전 항암방사선치료 후 병리학적 완전관해 (pCR) 달성 여부는 환자의 무병생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따라서 국소 진행성 직장암은, 병리학적 관해율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의 수립이 매우 중요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연구의 목적은?
 국소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기존의 표준 치료인 카페시타빈 (capecitabine, CAP) 기반의 항암방사선치료에 비하여, 테모졸로마이드 (temozolomide, TMZ) + CAP 병용 항암방사선치료를 시행했을 때 더 높은 pCR 비율(rate)을 보이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습니다.

Q.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국소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 대한 TMZ+CAP 병용 항암방사선치료의 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한 전향적, 무작위배정, 다기관 2상 임상연구로, 대상자를 TMZ의 후보 예측인자인 MGMT 메틸화 (methylation) 여부에 따라 MGMT unmethylation (uMGMT) 그룹과 MGMT methylation (mMGMT) 그룹으로 층화한 후 각각 CAP 항암방사선치료군과 TMZ+CAP 병용 항암방사선치료군으로 1:1 무작위 배정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환자는 네 가지 치료군으로 분류되었습니다: arm A (uMGMT/CAP), arm B (uMGMT/TMZ+CAP), arm C (mMGMT/CAP), arm D (mMGMT/TMZ+CAP). 연구의 1차 평가 목표는 arm D (mMGMT/TMZ+CAP)군이 나머지 치료군 (arms A+B+C)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pCR rate의 개선이 있는 지를 평가하는 것이었습니다.

Q. 연구 결과?


 2017년 11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총 64명의 환자가 무작위 배정되었는데, total neoadjuvant therapy (TNT) 등의 새로운 치료법의 등장으로 인한 낮은 모집률로, 연구가 조기 종료되어 계획보다 적은 환자가 최종 등록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총 60명의 환자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습니다. 전체 환자의 pCR rate는 15% 였고, 네 군의 pCR rate는 각각 0% (arm A), 14.3% (arm B), 18.8% (arm C), 26.7% (arm D)였습니다. 계획하였던 1차 평가 목표에는 도달하지 못하였으나 (26.8% vs. 11.1%, arm D vs. arms A+B+C; p=0.208), arm D에서 다른 군에 비해 높은 pCR rate를 보여주었고, 탐색적 추가 분석으로 시행한 arm D와 arm A 간의 pCR rate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습니다 (p=0.0498). 치료법으로 나누었을 때, TMZ+CAP 치료군 (arms B+D)에서 20.7%의 pCR rate를 보이면서 CAP 치료군 (arms A+C)의 9.7%에 비해 더 나은 경향을 보였고, MGMT methylation 여부에 따라 구분했을 때에는 mMGMT 군 (arms C+D)에서 22.6%의 pCR rate를 기록하며 uMGMT 군 (arms A+B)의 6.9% 보다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습니다. 독성 측면에서는, TMZ 병합 치료 군에서 1~2등급의 오심 및 구토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3등급 부작용의 빈도는 두 치료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4~5등급 이상반응을 경험한 환자는 없었습니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본 연구가 조기 종료되면서 목표했던 환자수를 등록하지 못했고, 적은 표본 수 등으로 인하여 아쉽게도 미리 계획하였던 1차 평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기존의 표준 치료에 TMZ를 추가했을 때, 특히 MGMT 메틸화 환자에게서, pCR rate가 개선되는 비교적 뚜렷한 경향을 보여주었습니다. 최근 국소 진행성 직장암의 치료에서, TNT를 통한 수술 전 선행치료를 강화하는 전략이 강조되고 있으나, 여전히 적절한 바이오마커 부재 및 독성으로 인해 적합한 환자를 선택하는 것이 큰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본 연구는, 국소 진행성 직장암 환자에서 적절한 바이오마커를 찾아내고, 이들 환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선행 치료를 강화하여 관해율을 높이는 전략을 통해 환자의 치료 성적 및 생존 개선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합니다.

 KCSG의 도움으로 연구 설계, 참여 기관 모집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었고, 환자를 등록해 주신 모든 기관 연구자 교수님들과 코디네이터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더불어 좋은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시고, 데이터 분석 및 논문을 완성하는 데까지 모든 과정에 도움을 큰 주신 책임 연구자이신 홍용상 교수님과, 지도 교수님이신 김태원 교수님, 공동 제1저자이신 김정은 교수님께도 다시 한번 깊은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논문 원문 보러가기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