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G 소식

  1. home
  2. 알림
  3. KCSG 소식
뉴스레터 간행물 주요 연구성과 미디어 연구회동정

[KCSG LU17-21] J Thorac Oncol. 2023 Feb;18

  • 작성자 관리자
  • 등록일 2023-09-27
  • 조회수 150
첨부파일

▶ KCSG LU17-21


A Phase 2 Study of Palbociclib for Recurrent or Refractory Advanced Thymic Epithelial Tumors (KCSG LU17-21) 


Journal : J Thorac Oncol. 2023 Feb;18(2):223-231.

제1저자 정현애(삼성서울병원)

Q. 연구의 배경은?
 Thymic epithelial tumor는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 advanced thymic epithelial tumor의 1차 치료는 platinum-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입니다. 하지만 platinum-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에 실패한 경우, 후속 치료로 ifosfamide, pemetrexed, gemcitabine이 있으나 객관적 반응률이 10%-30% 정도밖에 되지 않고, 무진행 생존 기간도 짧습니다. Palbociclib은 CDK4/6 억제제로, pRB-expression tumor cell line에서 항종양 효과가 있었고, thymic epithelial tumor에서 pRB-expression이 84-95% 정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Q.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는 platinum-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에 실패한 thymic epithelial tumor 환자를 대상으로 palbociclib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2상 단일군 연구입니다. 

Q.연구 방법?
 KCSG 산하 7개의 연구기관에서 진행되었고, thymic epithelial tumor 환자가 등록되어, palbociclib (125mg 3주 복용, 1주 휴약) 치료를 받았습니다. 1차 목적은 6-months PFS였고, 2차 목적은 objective response rate, overall survival, safety이었습니다.

Q. 연구 결과?
 국내 11기관에서 총 87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습니다.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 54명 (62.1%),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 27명 (31.0%), HER2 양성 유방암 환자 6명(6.9%)이 등록되었습니다. 74명(85.1%)의 환자에서 visceral metastasis가 있었으며 48명(55.2%) 환자에서 세 곳 이상의 전이 병소가 있었습니다.

Q. 연구 결과?
 2017년 8월부터 2019년 10월동안 총 48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palbociclib 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 Objective response rate는 12.5% 였고, 6-months PFS는 60.2%, Median PFS는 11개월로 보고하였습니다. Median overall survival은 26.4개월이었습니다. 특히 53.1%의 환자가 SD 이상의 반응을 12개월 이상 유지하였고, 연구 분석 종료 시점에도 22.9%의 환자가 palbociclib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림 1]

가장 흔한 treatment-related adverse event는 neutropenia (62.5%), anemia (37.5%), thrombocytopenia (29.1%)였으나, neutropenic fever event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본 연구의 의미는 palbociclib이 thymic epithelial tumor에서 연구되었던 기존 약제들에 비해 manageable한 safety profile을 보이고, 긴 duration of response를 보여주었다는 점입니다. 또한, 해당 연구 결과를 통하여 사전 신청 요법으로 thymic epithelial tumor 환자에게서 2차 이상 치료 옵션으로 사용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에 도움을 주신 모든 KCSG 연구자분들께 감사 말씀을 드리며, 연구를 계획하고 논문의 완성까지 교신저자로서 이끌어 주신 안명주 교수님께도 다시 한번 감사 인사 드립니다.

논문 원문 보러가기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