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G 소식
- 알림
- KCSG 소식
뉴스레터 | 간행물 | 주요 연구성과 | 미디어 | 연구회동정 |
[KCSG UN18-05] Journal of Cancer Research and Therapeutics, Apr 4, 2023.
- 작성자 관리자
- 등록일 2023-09-27
- 조회수 148
첨부파일
▶ KCSG UN18-05
Imatinib in c-KIT-mutated metastatic solid tumors: A multicenter trial of Korean Cancer Study Group (UN18-05 Trial)
제1저자 이수진(이대서울병원)
Q. 연구의 배경은?
c-KIT 은 잘 알려진 종양유전자로, c-KIT 돌연변이 및 그에 대한 표적치료는 그동안 GIST 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뤄졌습니다. 하지만 여러 NGS 연구 결과들을 보면, 아주 적은 확률이지만 다양한 암종에서 c-KIT 유전자 변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GIST 를 제외한 다양한 고형암 환자에서 KIT 표적치료제인 imatinib 의 2상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Q. 연구의 목적은?
c-KIT 유전자 변이가 있는 다양한 고형암 환자 (GIST 제외) 에서 표준치료 실패 후 적용한 imatinib의 효과와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습니다.
Q. 연구 방법?
2014년 4월부터 2020년 9월까지 국내 다기관 연구로 진행하였고, 총 18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습니다. 등록된 환자는 질병 진행이 확인 되거나, 심각한 부작용 발생, 또는 동의 철회가 확인될 때까지 imatinib 400mg을 매일 복용하였습니다. 연구의 1차 목적은 객관적 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이었으며, 2차 목적으로 반응지속기간(DoR), 무진행 생존기간 (PFS), 안전성(safety profile)을 확인하였습니다.
Q. 연구 결과?
국내 11기관에서 총 87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습니다. 호르몬 양성 유방암 환자 54명 (62.1%),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 27명 (31.0%), HER2 양성 유방암 환자 6명(6.9%)이 등록되었습니다. 74명(85.1%)의 환자에서 visceral metastasis가 있었으며 48명(55.2%) 환자에서 세 곳 이상의 전이 병소가 있었습니다.
Q. 연구 결과?
연구에 등록된 환자들의 나이 중앙값은 59세였고, 15명의 환자가 흑색종 환자였으며, 그 외 유방암, 난소암, 원발부위미상암 환자가 각각 1명씩 등록되었습니다. c-KIT 유전자 변이 종류를 살펴보면, mutation 만 있는 환자 12명 (66%), amplification 만 있는 환자 2명 (11.1%), mutation 와 amplification 이 같이 관찰되는 경우가 4명 (22.2%) 이었습니다. 가장 흔한 돌연변이는 L576P 였습니다(33.3%). 총 17명의 평가 가능한 환자 중, 1명의 흑색종 환자에서 CR 을 보였고, 6명의 환자가 PR, 2명의 환자가 SD 를 보여, ORR 41.2%, DCR 52.9% 로 평가되었습니다.

(Figure 1)
c-KIT amplification 만 있는 환자에서 치료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c-KIT K642E, L576P, W557G, N655K 돌연변이가 치료 반응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Figure2)
가장 흔한 부작용은 부종 (31.3%), 식욕부진 (25.0%), 오심 (18.8%) 과 피부발진 (18.8%) 이었으며, 부작용으로 약물을 중단한 경우는 없었습니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워낙 적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확정적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표준치료에 실패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을 고려하였을 때 ORR 41.2% 는 상당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며, 특히 흑색종 환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다기관으로 진행한 연구이나, c-KIT 유전자 변이가 흔치 않기에 상당히 오랜 기간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기간동안 관심 있게 봐주시고, 성심껏 환자들을 등록해주신 연구자 선생님들, 코디네이터 선생님들과 KCSG 관계자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