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G 소식
- 알림
- KCSG 소식
뉴스레터 | 간행물 | 주요 연구성과 | 미디어 | 연구회동정 |
[KCSG IIT 분석]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 작성자 관리자
- 등록일 2025-03-05
- 조회수 44
▶ KCSG IIT 분석
The Survival and Financial Benefit of Investigator-Initiated Trials Conducted by Korean Cancer Study Group
저널: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제1저자 김범준 (한림대 성심병원)
Q. 연구의 배경은?
암 치료의 발전에는 의학 연구와 임상시험의 기여가 큽니다. 특히,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은 의뢰자 주도 임상시험과 달리 상업적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새롭고 혁신적인 치료 방법을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국내에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의 구체적인 효과, 특히 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생존 이득 및 경제적 이점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보고는 아직 제한적이었습니다. 본 연구는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항암요법연구회(Korean Cancer Study Group, KCSG)를 통해 수행된 임상시험이 환자에게 미친 실제적인 혜택을 검토하고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Q.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항암요법연구회가 1998년부터 2023년까지 수행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을 분석하여, 연구에 참여한 암 환자들에게 제공된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및 전체 생존기간(Overall Survival, OS)의 증가 효과를 평가하고, 연구 약물 제공을 통해 발생한 경제적 혜택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의 중요성과 가치를 입증하고, 향후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의 확대를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Q. 연구 방법?
1998년부터 2023년까지 대한항암요법연구회를 통해 수행된 총 310건의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이 중 133건은 연구가 완료되어 출판되었으며, 생존 분석에는 21건의 연구 데이터를 포함했습니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중앙 생존 기간 차이를 중재군 환자 수로 곱하여 무진행 생존기간 및 전체 생존기간의 증가를 계산했습니다. 또한, 6건의 연구를 통해 제공된 약물의 비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제적 혜택을 산출했습니다.
Q. 연구 결과?
분석 결과, 중재군 환자 1,951명이 총 2,558.4개월(약 213.2년)의 무진행 생존기간과 2,501.6개월(약 208.5년)의 전체 생존기간을 추가로 획득했습니다. 환자 1인당 중앙값으로는 무진행 생존기간이 1.31개월, 전체 생존기간이 1.58개월 증가했습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구만을 고려했을 때, 환자 1인당 무진행 생존기간과 전체 생존기간은 각각 1.69개월과 3.02개월 증가했습니다. 또한, 6건의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에서 제공된 연구 약물의 경제적 가치는 약 104억 원으로 평가되었으며, 환자 1인당 약 4,127만 원 상당의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본 연구는 대한항암요법연구회를 통해 수행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이 암 환자들에게 생존 기간 연장은 물론 경제적 혜택도 제공한다는 점을 실질적으로 입증했습니다. 비록 대규모 3상 연구의 수가 적어 분석 방법에 일부 한계가 있었으나, 본 연구 결과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사례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확대 및 지원할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합니다.
-
다음 글
-
이전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