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G 소식

  1. home
  2. 알림
  3. KCSG 소식
뉴스레터 간행물 주요 연구성과 미디어 연구회동정

[KCSG UN18-06] Cancer. 2025 Jan 1;131(1):e35609.

  • 작성자 관리자
  • 등록일 2025-07-16
  • 조회수 108
첨부파일
▶ KCSG UN18-06
Phase 2 trial of avelumab in combination with gemcitabine in advanced leiomyosarcoma as a second-line treatment (EAGLES, Korean Cancer Study Group UN18-09)

저널: Cancer. 2025 Jan 1;131(1):e35609.

 

제1저자 김미소 (서울대병원) 

 

Q. 연구의 배경은?

전이성 평활근육종(leiomyosarcoma, LMS)은 연부조직육종 중 비교적 흔한 아형으로, 수술이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지만,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및 전이성 LMS 환자에서는 1차 치료로 주로 doxorubicin 기반 항암 요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1차 치료 실패 후 선택할 수 있는 2차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고, 면역관문억제제 단독요법은 LMS에서 효과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gemcitabine의 면역조절(immunomodulatory) 효과를 보여준 연구에 근거하여, 면역항암제인 avelumab과 병용하는 치료 전략을 제안하게 되었습니다. 


Q. 연구의 목적은?

1차 항암치료에 실패한 진행성 LMS 환자에서 avelumab과 gemcitabine 병용요법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입니다. 


Q. 연구 방법?

다기관, 단일군, 제2상 임상시험으로, 총 38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습니다. 환자들은 28일 주기로 avelumab 10 mg/kg (각 주기 1일, 15일, 최대 24개월까지) 및 gemcitabine 1000 mg/m2 (각 주기 1일, 8일, 15일) 을 투여 받았습니다.

1차 평가변수는 객관적 반응률 (ORR) 이었고, 2차 평가변수로 무진행 생존기간 (PFS), 전체 생존기간 (OS), 질병 조절률 (DCR), 반응 지속 기간 (DOR), 안전성 등을 확인하였습니다.


Q. 연구 결과?

등록된 38명 중 평가가능한 35명의 환자에서 객관적 반응률은 20% (완전반응 1명, 부분반응 6명)였고, DCR은 71%, DOR 중앙값은 21.8개월이었습니다. 이는 gemcitabine 단독요법의 보고된 반응률과 비슷하였지만, 일부 환자에서 종양 반응이 장기적으로 지속됨을 보여주었습니다. PFS 중앙값은 5.6개월 (95% 신뢰구간: 4.5?6.8개월), OS 중앙값은 27.5개월 (95% 신뢰구간: 20.4?34.6개월)로 확인되었습니다. 탐색적 목적으로 수행된 종양침윤림프구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 TIL) 분석 결과, TIL density가 높은 환자군에서는 ORR이 더 높고, PFS 및 OS 또한 유의하게 향상되어, TIL density가 향후 임상연구에서 예측 바이오마커 (predictive biomarker)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하였습니다. 중등도 이상의 이상반응은 전체 환자의 70%에서 발생했으며,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호중구감소증(54%)이었고, 면역 관련 이상반응은 비교적 적은 빈도로 관찰되었습니다 (14%, 갑상선기능저하증 3명, 간염 2명). 대부분의 이상반응은 보존적 치료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었고, 치료와 관련된 사망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는 통계학적 가설 ORR 35%를 만족하지 못하였지만, avelumab과 gemcitabine 병용요법이 일부 환자들에게 장기 생존의 이득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고, 전반적으로 안전하게 투여 가능함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나, 면역항암제와 세포독성항암제 병용요법의 효과를 명확히 입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겠으며, 특히 TIL과 같은 면역 관련 바이오마커를 중심으로 한 환자 선별 전략이 향후 연구에서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육종과 같은 희귀암 연구는 단일 기관의 역량을 넘어서는 도전으로, 여러 기관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는 대한항암요법연구회(KCSG) 희귀암 분과의 주도로 시작되어, 국내 여러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 덕분에 원활한 환자 모집이 가능했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연구의 전반을 이끌어 주시고 큰 방향을 제시해주신 김영생, 안진희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리며, 환자 등록,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논문 작성에 이르기까지 각자의 자리에서 헌신해주신 참여 기관의 연구자 선생님들께도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에 기꺼이 참여해주신 환자분들께 진심 어린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