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연구 검색
- 임상연구란?
- 임상연구 검색
백금제제와 미토탄 치료에 실패한 진행성 부신피질암에서 펨브롤리주맙과 렌바티닙 병용 요법의 전향적 2상 시험
Study Code | KCSG GU21-14 |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 2024-11 |
---|---|---|---|
등록기간 | 2022-07 ~ 2024-06 | 연구기간 | 2021-07 ~ 2025-06 |
임상시험 제목(한글) | 백금제제와 미토탄 치료에 실패한 진행성 부신피질암에서 펨브롤리주맙과 렌바티닙 병용 요법의 전향적 2상 시험 | ||
임상시험 제목(영문) | A Prospective Phase II Trial of Pembrolizumab Plus Lenvatinib in Advanced Adrenal Cortical Carcinoma After Failure of Platinum- and Mitotane-Based Chemotherapy | ||
연구요약 (brief summary) |
렌바티닙은 면역억제를 일으키는 VEGF신호체계를 억제함으로서 종양의 면역미세환경을 면역학적으로 활성화된 상태로 변경시킬 가능성이 있고(13), 이러한 변화는 펨브롤리주맙의 효과를 상승시킬 것이다. 펨브롤리주맙과 렌바티닙 병용요법은 전향적 임상시험에서 평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
대상 질환 | 비뇨기암 | 연구 단계 | 2상 |
연구 디자인 | 단일군 | 연구 주도 | 연구자 주도(IIT) |
임상약 | Pembrolizumab | ||
연구 진행상태 | 등록중 | 목표 대상자 수 | 30 명 |
등록률 | 66.7 % | 현재등록 대상자 수 | 20 명 |
등록 기준 (Eligible criteria) |
1.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부신피질암이 진단된 만 19세 이상의 남성/여성으로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은 후 동의서에 자필로 서명한 자. 2.수술, 방사선, 또는 병용치료를 이용한 완치목적의 치료가 적합하지 않은 국소진행성, 재발성, 또는 전이성 질환을 가진 자. 3.진행성 질환에 대해 고식적 목적으로 미토탄과 시스플라틴을 포함한 요법을 받고 마지막 치료제 투여 후 6개월 이내에 병이 진행한 자. 감내하지 못하는 독성으로 이전의 치료를 중단한 경우에도 등록이 가능하다. 4.세포독성 항암제를 거부한 자로 등록이 가능하다. 5.RECIST v1.1에 근거한 측정가능한 병변이 있는 자: a. CT나 MRI로 측정이 가능한 1개 이상의 병변이 존재하되, 림프절이 아닌 병변의 경우 장경이 ≥10 mm 이어야 하며 림프절의 경우 단경이 ≥15 mm이어야 한다. b. 이전에 방사선 치료나, 고주파 열치료와 같은 기타 국소적 치료를 받은 경우 해당 부위 병변의 크기 증가가 명백하여야 표적 병변으로 간주한다. 6.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PS) 0-2인 자(부록1참조) 7.고혈압 약을 사용하지 않고, 또는 사용하며 적절하게 혈압이 조절되는 자로, 혈압이 스크리닝 때 ≤150/90 mmHg이어야 하며, cycle 1 day 1의 1주일 이내 혈압약의 변경 없이 지속적으로 ≤150/90 mmHg이어야 한다. 8.혈중 크레아티닌이 정상범위 상한치의≤1.5배이거나Cockcroft와 Gault 공식으로 계산한 크레아티닌 청소율≥30 ml/min 이상의 신기능 9.적절한 골수기능: a.절대호중구수 ≥1500/mm3 (≥1.5×103/μL) b.혈소판≥100,000/ mm3 (≥100×109/L) c.혈색소≥9.0 g/dL 10.적절한 혈액응고기능[항응고제를 복용하지 않는 경우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1.5] 11.적절한 간기능: a.혈중 빌리루빈이 정상범위의 상한치≤1.5배, Gilbert 증후군에 의한 비결합 고빌리루빈혈증은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도 선정 가능 b.골전이가 없는 경우라면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아스파라진산 아미노전이효소가 정상범위의 상한치≤3배 (간전이가 있는 경우 ≤5배).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가 정상범위 상한치>3배이며 골전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등록이 가능하다. 12.여명이 3개월 이상 13.미토탄 중단에 동의한 자 14.모든 여성대상자는 스크리닝과 기준검사 방문 시점에 혈액 또는 소변을 통한 임신검사가 음성이어야 한다. 임신검사는 첫 투약 72시간 이내에 시행되어야 한다. 임신의 가능성이 있는 가임기 여성은 전체임상시험 기간과 임상시험 중단 120일 시점까지 매우 효과적인 피임방법을 사용하는데 동의하여야 한다: a.완전한 금욕(통상적이고 선호되는 생활양식인 경우) b.자궁내피임장치 c.피임 임플란트 d.경구피임약(추가적인 차단피임법과 함께 사용) e.정관수술 후 무정자증이 확인된 배우자 15.남성 참가자의 경우, 여성 파트너가 가임기 여성인 경우 콘돔과 살정제를 병용투여하고, 여성 파트너는 14항에 나오는 효과적인 피임법을 함께 사용해야 한다. 피임은 완전한 금욕을 하거나 정관수술 후 무정자증이 확인된 경우, 또는 여성파트너가 불임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첫 투약 전 1월경주기 이전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투약 후 120일까지 지속해야 한다. 16.이전 방사선치료를 받지 않은 병변부위의 보관된 종양조직 또는 새로이 채취한 중심부바늘생검(core needle biopsy)나 절개생검을 바이오마커 분석을 위하여 제공하는 것에 동의한 자. 검체슬라이드보다 Formalin-fixed, paraffin embedded (FFPE) tissue block이 선호되며 새로 채취한 검체가 보관검체보다 선호된다. 보관검체를 제공하지 못할 경우, 조직검사가 불가능한 곳이거나 새로운 조직검사를 거부하여도 담당의사의 판단 하에 등록이 가능하다. |
||
제외 기준 (exclusion criteria) |
1.이전에 항PD-1, 항PD-L1, 항PD L2 면역항암제 또는 기타 T림프구에 작용하는 면역항암제(CTLA-4, OX 40, CD137등)를 받았던 자. 2.VEGF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나 VEGF경로에 대한 단클론항체치료를 받은 자. 3.임상시험약 시작 2주 이내 대수술을 받은 자. 치료 시작 전 대수술을 받은 경우 수술의 부작용이나 합병증에서 회복되었어야 한다. 4.소변검사에서 >1+ 단백뇨가 검출된 경우 24시간 요수집을 하여 단백뇨에 대한 정량검사를 하여야 하며, 단백뇨≥1g/24시간의 경우 등록이 불가능하다. 5.렌바티닙의 흡수에 지장을 미칠 수 있는 위장관 흡수장애, 위장관폐색, 또는 기타 소화기계 질환. 6.임상시험약 첫 투약 6개월 이내에 발생한 심각한 심혈관 이상.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Class II 이상의 울혈성 심부전 과거력(부록7 참조), 불안정 협심증, 심근경색 또는 뇌경색, 심각한 심혈관 이상과 연관된 부정맥, 또는 MUGA나 심초음파 상 정상범위 이하의 좌심실 박출률. 7.QTc 간격 >480 msec 8.출혈 또는 혈전성 질환이 있거나, 대상자가 심각한 출혈의 위험을 가진 경우. 렌바티닙 사용에 따른 종양괴사/종양축소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출혈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종양이 대혈관을 침범한 정도를 확인해야 한다. 9.임상시험약의 첫 투약 30일 이내 생백신을 받는 경우. 생백신의 예시로는 홍역, 볼거리, 풍진, 수두, 황열, 광견병, BCG, 장티푸스 등이 있다. 계절성 독감의 경우 주사제제는 허용되나, 비강을 통한 접종을 하는 생백신(FluMist®등)은 허용되지 않는다. 10.이상시험약제 투약 4주 이내 다른 치료법에 대한 연구에 참여중인 경우. 11.면역결핍을 진단받았거나, 만성적으로 부신피질 당질 코르티코이드 호르몬(매일 프레드니손10 mg을 초과하는 양) 또는 다른 형태의 면역억제제를 임상시험약 시작 7일 이내 복용한 경우. 생리학적 용량의 부신피질 당질코르티코이드의 사용에 대해서는 담당의사의 승인 하에 임상시험 참가가 가능하다. 미토탄으로 치료받은 경우 부신기능저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스테로이드 대사율의 상승으로 인하여 스테로이드 요구량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높다.48 따라서, 유지중인 스테로이드 용량이 임상시험 참가에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담당의사의 판단에 따른다. 12.2년 이내에 알려진 별도의 암종이 있으며, 해당 암종이 진행성이거나 적극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 완치목적의 수술적 치료를 받은 피부의 기저세포암, 피부의 편평상피암, 상피내암 (유방 또는 자궁경부)는 제외되지 않는다.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거나, 완전히 치료된 전립선암 또는 완전하게 치료된 갑상선암은 담당의사의 판단에 따라 참여가 가능하다. 13.알려져 있는 중추신경계 전이 그리고/또는 뇌수막전이가 있는 경우. 이전에 치료된 뇌전이가 있는 경우 영상검사에서 안정적이면서(스크리닝 검사에서 시행된 반복적 영상검사에서 4주 이상 진행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임상적으로 증상이 안정적이며 스테로이드 사용이 임상시험약제 첫 사용14일 이내에 요구되지 않는 경우 참여가 가능하다. 14.펨브롤리주맙이나 첨가물에 대해 심각한 과민반응(≥3등급)이 있는 경우. 15.2년 내 현성 자가면역 질환이 있어서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DMARDs (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ugs)등의 전신치료를 필요로 했던 경우. 호르몬 대체요법(갑상선호르몬, 인슐린, 생리적 농도의 부신피질 호르몬 등)은 전신치료로 간주하지 않으며 연구참가가 가능하다. 16.스테로이드가 필요했던 비감염성 폐렴(pneumonitis)의 과거력 또는 현재 비감염성 폐렴이 있는 경우. 비감염성 폐렴이란 특발성 폐섬유화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기질화폐렴(organizing pneumonia), 또는 약제유발성 폐렴 등을 포함하나 다른 질환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방사선 치료 범위에 발생한 방사선 유발성 폐렴은 허용된다. 17.전신치료를 요하는 현성 활동성 감염. B형간염과 C형간염은 허용된다 (19항목 참조). 18.활동성 결핵이 있는 경우. 그러나, 이전에 치료받고 완치판정을 받거나, 현재 활동성 감염의 증거가 없는 잠복결핵 등의 비활동성 결핵은 허용된다. 19.HBsAg(+)인 경우, B형간염에 대해 항바이러스 치료가 임상시험약 첫 투여 3개월 이전부터 들어가야 하며, 임상시험약 첫 투여 전 B형간염 바이러스 DNA정량검사에서 <100 IU/mL 이어야 한다. a.HBsAg(+)이면서 B형간염 치료제를 받고 있으면서 바이러스 부담이 100 IU/mL미만인 경우 같은 약제를 임상시험 기간 동안 지속해야 한다. b.anti-HBcAb(+) 그리고/또는 anti-HBsAb(+)이며 HBsAg(-)이고 HBV DNA(-)이면서 예방적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지 않고 있던 경우 새로이 시작할 필요는 없다. c.anti-HBcAb(+) 그리고/또는 anti-HBsAb(+)이며 HBsAg(-)이고 HBV DNA(-)이면서 예방적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고 있었다면 지속해야 한다. d.위의 모든 경우, 임상시험 기간 중 HBV DNA를 3개월마다 모니터링 해야 한다. 20.C형간염 치료중인 C형간염환자는 임상시험약제 첫 투약 4주 이전에 C형간염 치료를 완료해야 한다. C형간염이 있으면서 치료받지 않았거나 완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참가가 가능하다. 21.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이 확인된 경우. 22.연구자의 판단으로 임상시험의 결과 해석에 혼동을 줄 수 있거나, 임상시험 기간동안 대상자의 임상시험 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것이 대상자에게 최우선 순위가 아니게 만드는 현재 또는 과거의 질환, 치료, 또는 검사상의 이상이 있는 경우. 23.임상시험에서 요구되는 조건과 상충되는 정신과적 질환 또는 약물오남용이 있는 경우. 24.임신중이거나 수유중, 또는 연구 기간 내(연구 시작시점부터 마지막 투약 후 120일 시점) 임신을 하거나 임신을 시킬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25.동종 조직/장기이식의 과거력. 26.아물지 않은 심각한 상처, 궤양, 골절이 있는 경우. |
||
성별 | 전체 | ClinicalTrials.gov Identifier |
* 아래의 기관 중 희망하는 기관에 임상연구를 문의할 수 있습니다. 문의를 남길 기관을 선택해주세요.
연구책임자 (PI) |
|
||||||||||||||||||||||||||||||||
---|---|---|---|---|---|---|---|---|---|---|---|---|---|---|---|---|---|---|---|---|---|---|---|---|---|---|---|---|---|---|---|---|---|
참여연구기관 |
|
||||||||||||||||||||||||||||||||
Key word | 부신피질암, lenvatinib, pembrolizuma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