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연구 검색

  1. home
  2. 임상연구검색
  3. 임상연구 검색

임상연구 등록하기

연구 진행상태

연구 단계

연구 주도

지역

환자의뢰시스템

검색 초기화

  • 연구완료

    KCSG

    유방암 (KCSG BR18-23)

    HER2 양성 조기유방암 환자에서 도세탁셀, 아테졸리주맙, 허셉틴 및 퍼제타의 선행항암요법 및 수술 후 아테졸리주맙, 허셉틴 및 퍼제타 보조화학요법에 대한 1b-2상 임상시험

    • PI / PI기관 박연희 / 삼성서울병원(서울)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67 명 / 67 명 (100.0%)
  • 연구완료

    KCSG

    비뇨기암 (KCSG GU18-18)

    재발성 또는 전이성 HER2 양성 요로상피세포암에서 Herzuma®와 Paclitaxel 복합항암화학요법의 다기관 2상 연구

    • PI / PI기관 김범석 / 서울대학교병원(서울)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27 명 / 27 명 (100.0%)
  • 연구완료

    KCSG

    두경부식도암 (KCSG HN18-12)

    난치성 두경부암 환자에서 면역관문억제제의 실제 임상적 유용성과 안정성 연구: 후향적 다기관 분석 연구

    • PI / PI기관 황인규 / 중앙대학교병원(서울)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125 명 / 100 명 (125.0%)
  • 연구완료

    KCSG

    유방암 (KCSG BR18-13)

    2가지 요법 이상의 HER-2 표적 치료 후 진행된 HER2-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Trastuzumab-Gedatolisib 병용요법의 안전성, 유효성 평가를 위한 공개, 다기관, 전향적, 단일군 제 2상 임상시험

    • PI / PI기관 박경화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서울)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44 명 / 62 명 (71.0%)
  • 연구완료

    KCSG

    유방암 (KCSG BR18-14)

    2가지 요법 이상의 HER-2 표적 치료 후 진행된 HER2-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Trastuzumab biosimilar (Herzuma®) 와 임상의가 선정한 약제와의 병용요법의 안전성, 유효성 평가를 위한 공개, 다기관, 전향적, 제 2상 임상시험

    • PI / PI기관 박인혜 / 국립암센터(경기도)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109 명 / 108 명 (100.9%)
  • 연구완료

    KCSG

    위암 (KCSG ST18-20)

    진행성 위암에서 Paclitaxel과 AZD8186의 병합요법에 대한 제 1b/2상 연구

    • PI / PI기관 이근욱 / 분당서울대학교병원(경기도)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28 명 / 67 명 (41.8%)
  • 연구완료

    KCSG

    희귀암 (KCSG UN18-15)

    수술 불가능한 혈관육종에 대한 1차 Paclitaxel-Avelumab 치료의 제II상, 다기관 임상시험

    • PI / PI기관 오성용 / 동아대학교병원(부산)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33 명 / 33 명 (100.0%)
  • 연구완료

    KCSG

    희귀암 (KCSG UN16-10)

    웹기반으로 등록된 육종환자에 대한 분석

    • PI / PI기관 라선영 / 세브란스병원(서울)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2389 명 / 2500 명 (95.6%)
  • 연구완료

    KCSG

    희귀암 (KCSG UN10-18)

    한국인 신경내분비 종양 환자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관찰적 등록 연구

    • PI / PI기관 박영석 / 삼성서울병원(서울)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518 명 / 500 명 (103.6%)
  • 연구완료

    KCSG

    완화의료 (KCSG PC14-17)

    한국인 암환자의 돌발 통증 관리 실태와 장애요인 조사

    • PI / PI기관 이경희 / 영남대학교병원(대구)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966 명 / 1185 명 (81.5%)

* (사)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게시된 세부 임상연구 정보에 대해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