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연구 검색

  1. home
  2. 임상연구검색
  3. 임상연구 검색

임상연구 등록하기

연구 진행상태

연구 단계

연구 주도

지역

환자의뢰시스템

검색 초기화

  • 등록종료

    폐암 두경부식도암 멜라노마 (NP40435)

    진행성 및/또는 전이성 고형 종양 환자에서 PD-1/TIM-3 이중특이적 항체인 RO7121661의 안전성, 약동학 및 예비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는 공개, 다기관, 용 량 증가 및 확장 제1상 시험

    • PI / PI기관 김태민 / 서울대학교병원(서울)
    • 목표 대상자 수 33 명
  • 등록종료

    유방암 (WO40324)

    HER2-양성 초기 유방암 환자에서 화학요법과 병용 시 퍼투주맙과 트라스투주맙의 고 정 용량 복합제(FDC) 피하 투여의 약물동태학,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제 3상 , 무작위배정, 다기관, 공개, 2-군 임상시험

    • 목표 대상자 수 35 명
  • 등록종료

    폐암 (MK-3475-867)

    의학적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제I기 또는 제IIA기 비소세포 폐암 (Non Small Cell Lung Cancer, NSCLC) 환자를 대상으로 Pembrolizumab(MK-3475)을 병 용하거나 병용하지 않은 체부정위방사선요법(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SBRT)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3상, 무작위배정, 위약 대조 임상시험(KEYNOTE- 867)

    • 목표 대상자 수 530 명
  • 등록종료

    폐암 (AP32788-15-101)

    비소세포폐암에서 경구용 EGFR/HER2 억제제인 TAK-788(AP32788)의 안전성, 약동학 및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는 제 1/2 상 임상시험

    • 목표 대상자 수 91 명
  • 등록종료

    비뇨기암 (MK-7339-001)

    BRCA 돌연변이가 없는 진행성 상피 난소암(Epithelial Ovarian Cancer, EOC)의 1차 치료에서 Pembrolizumab을 병용하거나 병용하지 않은 화학요법 후 Olaparib 또는 위약을 이용한 유지요법을 평가하는 무작위배정 제3상, 이중눈가림 임상시험(KEYLYNK-001 / ENGOT-ov43)

    • 목표 대상자 수 1086 명
  • 등록종료

    폐암 (KEYNOTE-671)

    절제 가능한 제IIB기 또는 제IIIA기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환자에 대한 신보조/보조 요법으로서의 백금제제 2제 화학 요법 +/- Pembrolizumab (MK-3475)을 평가하는 제III상,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임상 시험(KEYNOTE-671)

    • 목표 대상자 수 786 명
  • 등록종료

    폐암 (Bigatinib-2002)

    알렉티닙 또는 세리티닙 복용 중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 양성(ALK+)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NSCLC)이 진행한 환자에서의 브리가티닙 투여

    • PI / PI기관 조은경 / 가천대학교 길병원(인천)
    • 목표 대상자 수 103 명
  • 등록종료

    유방암

    고위험, 림프절 양성, 초기 병기, 호르몬 수용체 양성, 인간 표피 성장인자 수용체 2 음성, 유방암 환자에 대하여 표준 보조 내분비 요법과 병용한 아베마시클립 치료를 표준 보조 내분비 요법만 실시한 경우와 비교하는 무작위 배정, 공개, 제 3상 시험

    • 목표 대상자 수 0 명
  • 등록종료

    위암 간담췌암 식도암 (1381-0004)

    진행성 고형암을 앓는 아시아인 환자를 대상으로 BI 754091 단일요법 및 BI 754091+BI 754111 병용요법을 평가하기 위한 공개라벨, 제I상 임상시험

    • 목표 대상자 수 51 명
  • 등록종료

    폐암 (TRAP037)

    PD-L1 발현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이 있는 환자에서 일차 요법으로서의 M7824 대 펨브롤리주맙에 대한 제2상, 다기관, 무작위 배정, 공개 임상, 대조 시험

    • 목표 대상자 수 300 명

* (사)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게시된 세부 임상연구 정보에 대해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