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연구 검색

  1. home
  2. 임상연구검색
  3. 임상연구 검색

임상연구 등록하기

연구 진행상태

연구 단계

연구 주도

지역

환자의뢰시스템

검색 초기화

  • 준비중

    KCSG

    위암 (KCSG ST24-11)

    Claudin18.2양성, HER2 음성, 진행성 위암에서 zolbetuximab+항암화학요법의 real world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코호트 연구

    • PI / PI기관 라선영 / 연세암병원(서울)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명 / 80 명 (0.0%)
  • 준비중

    KCSG

    완화의료 (KCSG PC24-09)

    카페시타빈 관련 수족증후군 예방을 위한 항염트리펩타이드 크림의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3상 연구

    • PI / PI기관 한혜숙 / 충북대학교병원(충청도)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명 / 264 명 (0.0%)
  • 준비중

    KCSG

    대장/직장암 (KCSG CO24-03)

    고빈도-현미부수체 불안정성(MSI-H) 또는 DNA 불일치 복구 결핍(dMMR)을 동반한 고위험군 2기 대장암에서 보조화학요법의 역할: 다기관 분석

    • PI / PI기관 허준영 / 한양대학교 구리병원(경기도)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명 / 500 명 (%)
  • 준비중

    KCSG

    비뇨기암 (KCSG GU22-13)

    진행성/전이성 신세포암에서 1차 치료제로서 시행된 Nivolumab과 Ipilimumab 병합치료의 실제 임상적 효용성 및 바이오마커 탐색을 위한 후향적 연구

    • PI / PI기관 박지현 / 건국대학교병원(서울)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명 / 150 명 (0.0%)
  • 준비중

    KCSG

    림프종/혈액암 (KCSG LY18-01)

    진행병기 림프절외 NK/T-세포 림프종 환자의 임상양상과 치료 및 예후: 국내 다기관 후향적 연구

    • PI / PI기관 한재준 / 경희대학교병원(서울)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0 명 / 0 명 (0.0%)
  • 준비중

    대장/직장암

    KRAS/NRAS 및 BRAF 야생형 절제 불가능 또는 전이성 좌측 직결장암이 있는 임상시험대상자의 1차 치료로 아미반타맙과 mFOLFOX6 또는 FOLFIRI 대 세툭시맙과 mFOLFOX6 또는 FOLFIRI를 비교하는 무작위 배정, 라벨 공개 제3상 임상시험

    • 목표 대상자 수 24 명
  • 준비중

    폐암 (BO45217)

    이전 치료 경험이 있는 KRAS G12C 양성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디바라십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소토라십 또는 아다그라십과 비교 평가하는 제3 상, 무작위배정, 공개, 다기관 임상시험

    • 목표 대상자 수 320 명
  • 준비중

    비뇨기암 (BO45230)

    고위험 근육침습성 요로상피 세포암종 환자를 대상으로 보조요법으로서의 자가유전자 세부메란 + 니볼루맙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니볼루맙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무작위배정 제2상, 이중 눈가림, 다기관 임상시험

    • 목표 대상자 수 362 명
  • 준비중

    림프종/혈액암 (BP41072)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시험대상자에서 오비누투주맙과 병용한, 그리고 사전 요법 용량의 오비누투주맙 투여 후 글로피타맙과 병용한 엔글루마푸스프 알파(RO7227166, (CD19 표적 4-1BB 리간드)의 안전성, 약동학, 예비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는 공개, 제1/2상 시험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명 / 20 명 (0.0%)
  • 준비중

    대장/직장암 (BP44474)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SI) 및/또는 불일치 복구 결핍(DMMR)이 있는 진행성 고형 종양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단일요법 및 펨브롤리주맙과의 병용요법으로서 RO7589831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는 제1상 공개 시험

    • 현재등록 / 목표 대상자 수 명 / 295 명 (0.0%)

* (사)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게시된 세부 임상연구 정보에 대해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